열등감은 심리학의 키워 중에 핵심이듯 인생에서도 핵심

선교논단 wmnews.org

열등감은 심리학의 키워 중에 핵심이듯 인생에서도 핵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 등록: 2021.08.05 02:10

237366936_3hYDwpJo_f4f7d82995c274b278108e4b28310c92078a8bd0.jpg


'열등감'은 숨겨진 심리학의 키워드 중에 핵심 키워드이다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의 열쇠이자문제를 만드는 모든 배경이기도 하다어쩌면 심리학의 보물 중 보물이요신체의 허리와 같이 자신을 지탱시켜주는 마음의 허리라 할 수 있다그런데도 대부분 자존감에만 관심을 가졌을 뿐 정작 열등감은 소외되어 왔다.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있다한 가지 열등감을 극복하고 떨쳐버렸다고 해서 두 번 다시 생기지 않는 것도 아니다한 가지를 극복하고 나면한 차원 더 높은 다른 열등감이 기다리고 있다알고 보면 열등감 때문에 삶의 의미와 보람을 느끼며더 높은 자아실현을 추구하게 된다이럴 때 열등감은 '최고의 선물'인 셈이다그러나 극복하지 못한 열등감은 물귀신처럼 딱 달라붙어 좀처럼 떨어지지 않으며 사람을 끝까지 괴롭히는 괴물로 둔갑한다그렇게 많은 사람이 이 열등감이라는 괴물을 끌어안고 남이 볼까 봐 전전긍긍하며 안절부절못한다감추고 또 감추다 보면 모르는 것도 아는 척없는 것도 있는 척과대 포장한 채로 자신을 속이고 살게 된다이 경우 열등감은 실패의 걸림돌이 되어 스스로 패배의 길을 걷게 만든다.

성공하는 사람은 열등감을 극복했기에 성공할 수밖에 없다실패한 사람은 열등감의 노예로 사로잡혔기에 어떤 것도 만족이 없다항상 비교하며 남을 의식하고 남의 눈치에 따라 살다 보니 움츠릴 수밖에 없다왜소해 지는 것은 끝이 없어 결국 실패를 불러온다이러한 열등감을 극복하는 방법에는 '신앙'이 있다신앙은 열등감을 통찰하도록 만든다비관적인 환경을 비난하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감사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감사하는 것이 신앙의 힘이다.

 

또 내 속에 숨어 있는 열등감을 명료하게 만들고불행하다고 생각하는 비교의식을 찾아내는 통찰이 필요하다그때 목회자나 주변인들로부터 많은 위로와 격려실제적인 삶의 도움을 받는다면그 위로와 격려기도만으로도 새 힘을 얻고 새로운 마음가짐을 결단할 수 있다교회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느끼며 세상을 보는 시각도 바뀌고꿈도 생기고꿈을 향해 달음박질할 수도 있다.

열등감의 무기력이 찾아왔을 때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하나의 열등감을 극복하면 또 다른 열등감이 기다리고 있는데하나하나 극복해나가야 한다많은 사람이 열등감을 극복하는 힘이 무엇이냐고 이구동성으로 묻는데나는 한마디로 '예수님을 만나라'고 답한다.

신약이나 구약에 나오는 인물들을 볼 때요즘 세상의 기준에서 보면 하나같이 아무것도 내세울 것이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사람으로또 예수님의 제자로 쓰임 받았다예수님은 어떻게 그런 사람들을 제자로 골랐을까더 똑똑하고 훌륭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하필 열등한 사람들만 선택했으니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주인에게 쓰임 받았다는 것이다목수는 나무의 질에 따라 용도를 결정한다하나님의 쓰시기에 합당한 그릇으로 준비가 갖추어졌을 때 쓰임 받는다.

 

당신은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인가아니면 열등감의 노예인가비록 열등하고무능하고학벌이 없고병들고직업다운 직업도 없다 할지라도예수님을 만난다면 우리의 열등감은 새로운 삶의 시작이 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제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시기 때문이다내가 하는 일이나내가 하는 기업이나 사업을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시고 아무 가치도 없는 것들을 택하여 그리스도 안으로 부르신 것이다그 순간부터 나의 연약함이나 모든 무가치 한 것들은 새롭게 가치 있는 것으로 변하기 시작한다맹물이 변하여 가장 맛있는 포도주가 되듯이예수그리스도가 내 삶에 오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함이다결코 사람의 손으로 추진되는 것 같아도 결국은 하나님의 손에 의하여 힘을 지니게 된다.

 

 

최원호박사

국제선교신문 주필

서울한영대학교 겸임교수

저서 열등감예수를 만나다




취재: 국제선교신문 기자    기사입력 : 21-08-05 02:10

Copyright @2012 국제선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국제선교신문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독자의견

New
주인정신과 나그네 정신
국제선교신문 |
도산 안창호(1884~1969) 선생은 ‘주인 정신’을 교육함으로써 흩어졌던 하와이 교민들을 단결시켰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해 임시정부로 보냈고, 희망을 잃었던 교민들에게 자립할… 더보기
New
명문대학
국제선교신문 |
하버드 대학교는 아이비리그에 속한 최상위 대학이다. 하지만 미국의 대학 순위를 매기는 Best US. news의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 하버드 대학교가 미국 대학교의 1위 … 더보기
New
「예수님의 재림에 관한 미혹들 」 - 데살로니가후서 2:1~12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예수님 승천 후 열흘 정도 지난 오순절날 아침, 예루살렘의 어느 다락방에 모인 120여 명의 사람들에게 성령강림의 신비롭고도 놀라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성도들은 다른 언어로 말하기… 더보기
신흥종교(新興宗敎)
국제선교신문 |
한국은 신흥종교(新興宗敎) 천국이라 할 수 있다. 신흥종교를 다른 말로 <이단(異端) 종파>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단 종파는 외국산도 있지만, 국내산이 더 많다. 이단 … 더보기
Hot
「 특종 중의 특종 」- 마태복음 2: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성경은 여러 가지 특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역사를 섭리해 오셨습니다. 특종 중의 특종은 예수님이십니다. 그 이유는, 예수님이 역사의 분기점이 되셨기 때문… 더보기
Hot
진정한 복
국제선교신문 |
어느 종교나 동일하게 복 받으라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기독교도 예외 없이 교회에 가면 목사님의 설교에서 복받는 내용의 예화와 설교가 자주 등장한다. 사찰들도 복 받기 위해 불공을… 더보기
Hot
斷食政治
국제선교신문 |
<단식(斷食)>은 특정 목적을 위해서 일정 기간 음식과 음료를 자발적으로 끊는 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금식(禁食)>은 일정 기간 하나님께 서원한 것을 개인적… 더보기
Hot
거짓 선지자들과 거짓 예언들-겔13:1~10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에스겔은 남유다의 격변기에 활동한 선지자였습니다. 그는 유다가 멸망하기 11년 전쯤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고, 포로가 된 지 5년쯤 되어 선지자로 소명을 받았습니다. 그의 주된 사… 더보기
Hot
찬송가 가사에 담긴 깊은 은혜
국제선교신문 |
크리스천들이 매 주일 교회에서 예배 드리며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찬송가에 대해 이야기 하려 한다.경기도의 한 교회가 성도들의 신앙을 성장 시키기 위해 아동부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더보기
Hot
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대하2:1~9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이름을 위하여’ 이 구절은 솔로몬 왕의 성전 건축의 목적과 신앙고백으로 나의 하나님은 여호와시라는 선명한 그의 신앙을 알게 합니다. ‘여호와’는 모세를 통해… 더보기
Hot
大韓民國은 살아 있다!
국제선교신문 |
그동안 나라가 총체적으로 병들어 있었다. 어디서부터 칼을 대야 할지도 모를 중병에 걸려 있었다. 자고 나면 시뻘건 깃발 아래서 민노총은 우는 사자처럼 길거리에서 고함을 쳤고, 그런… 더보기
Hot
따뜻한 화음
국제선교신문 |
이사장으로 있는 유나이티드문화재단의 오케스트라가 수년 전 성악가들과 함께 정부대전청사에서 독거노인들을 모시고 음악회를 개최했다.음악회가 시작되고 분위기가 고조될수록 처음에 냉랭했던… 더보기
Hot
「다윈을 법정에 세우다」를 읽고
국제선교신문 |
얼마 전에 나는 <과학의 우상화>라는 칼럼을 썼다. 그런데 바로 다음 주에 헌법 학자이자, 전 강원대학교 법과 대학장이신 김학성 박사로부터 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그… 더보기
Hot
역사의 반면교사, 바벨론-사47:1~11 중에서
국제선교신문 |
반면교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되풀이해서는 안 될 나쁜 본보기라는 뜻인데 최강 국가 바벨론의 쇠망사는 우리의 반면교사가 됩니다. 감히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바벨론 제국이 최단명 제… 더보기
Hot
강화도 교회에서 배운다
국제선교신문 |
한국 기독교 역사에 큰 의미가 있는 강화도를 성경공부 모임에서 방문한 적이 있었다. 강화도의 선교 역사를 더듬어 보는 시간이었는데 매우 의미있고 유익했다.1893년 미국 감리교 선… 더보기

Search

Recently

Tags

Poll


결과보기

Popular